본문 바로가기

허리 질환

[허리] 양쪽 요추5-천추1번 경막외 신경차단술 경막외 신경차단술(epidural nerve block)은 척추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바늘을 진입하여 신경을 싸고 있는 막인 경막의 바깥에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다. 아래의 사진은 양쪽 요추5-천추1번 레벨에 있는 신경에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입하는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X-선 투시 영상이다. 양쪽 요추5-천추1번 레벨에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X-선 투시 영상. 신경은 X-선을 투시하면 보이지 않으므로 X-선 투시 영상에서 신경을 보이게 하는 조영제라는 약물을 주입하여 신경을 보이게한 후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입한다. 위의 사진에서 양쪽 요추5-천추1번 레벨을 지나가는 신경을 노란색으로 표시하였다 더보기
[허리] 운동후 생긴 허리 근육 파열 70대 남자가 3-4일전에 무리하게 헬스를 한 직후부터 왼쪽 허리에 갑자기 심한 통증이 생겨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을 방문하였다. 환자는 3달전에 건물을 하나 사서 그곳을 독서실로 만들기 위해 그동안 인테리어 공사를 하였는데, 인테리어 공사를 하는 동안에는 바빠서 운동을 하지 못하다가 인테리어 공사가 끝나고 독서실을 열게 되자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조금 무리하게 운동을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운동을 한 직후부터 갑자기 왼쪽 허리에 심한 통증이 생겨 허리를 굽히거나 펴기도 힘들다고 하였다. 환자에 대한 이학적 검사(진찰)에서 왼쪽 허리의 근육을 따라 심한 압통(눌렀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있었다. 환자가 압통을 느끼는 부위를 초음파로 검사한 결과 허리 근육의 일부에서 파열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더보기
[허리] 허리 수술후 골나사가 박힌 환자의 경막외 신경차단술 경막외 신경차단술(epidural nerve block)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바늘을 진입하여 신경을 싸고 있는 막인 경막의 바깥에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없애는 치료법이다. 아래는 허리 수술을 받은 후 골나사가 박힌 환자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x-선 투시 영상 사진이다. 허리 4번과 5번에 걸쳐 허리뼈의 일부를 제거하고 양쪽 4번 허리뼈, 5번 허리뼈, 천추1번 허리뼈에 골나사가 박힌 환자에서 요추5번과 천추1번 레벨에 바늘을 진입시켜 x-선 투시영상에서 신경을 보이게 하는 약물인 조영제를 주입한 후 촬영한 x-선 투시영상 사진. 조영제를 주입하여 신경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경막의 바깥에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주입한다. 위의 x-선 투시 영상 사진에 대한 설명. 허리 .. 더보기
서울마디 통증클리닉 전형준 원장 허리통증 치료법 논문 국제학술지에 게재 허리 불안정증이란 척추뼈들이 정상 범위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질병으로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병이다. 허리가 불안정해지면 허리의 신경과 관절에 충격을 주어 통증이 생기며 나이가 들어서는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행한다. 흔히 허리가 아프면 디스크, 협착증 등을 떠올리지만 디스크와 협착증과 같은 질병이 생기는데에는 허리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정상 범위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허리 불안정증은 그 자체가 질병이기도 하지만 디스크, 협착증과 같은 질병들이 생기도록 조장하는 역할도 한다. 일산 서울마디 통증클리닉 전형준 원장과 CHA의과대학교 안강병원 안강 원장은 끝이 둥글면서 무딘 형태로 특수하게 제작된 바늘을 이용하여 허리 불안정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을 미국에.. 더보기
[허리] 허리 디스크, 자연 치유가 되나요? 허리 디스크를 앓는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것 중에 하나가 허리 디스크가 저절로 낫는지, 즉 자연 치유가 되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허리 디스크가 저절로 낫는 경우도 일부 있다. 허리 디스크의 정확한 질병명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디스크에서 수핵을 감싸는 섬유륜이 파열되어 수핵이 흘러나와 신경에 염증을 일으키고 압박을 가하여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그런데 디스크 환자 중에는 흘러나온 수핵이 그대로 있는데도 통증이 없어지거나, 심지어 흘러나온 수핵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완전히 흡수되어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추간판의 수핵이 흘러나와 신경의 다발들이 모여 있는 신경관과 신경에 염증을 일으키고 압박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에서 진료한 사례 중에 허리 .. 더보기
[허리] 허리 불안정증 허리 불안정증이란 허리 불안정증은 척추뼈들이 정상 범위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허리는 우리 몸의 기둥이다. 기둥이 굳건하지 못하고 흔들리면 여러 가지 이상이 생긴다. 허리가 불안정해지면 허리의 신경과 관절에 충격과 압력을 주어 통증이 생기게 된다. 또한 신경다발이 지나는 통로가 좁아져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허리 불안정증을 설명하는 그림. 허리가 불안정하면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위에 있는 척추뼈가 아래에 있는 척추뼈의 앞쪽으로 이동하였다가(왼쪽그림),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위에 있는 척추뼈가 아래에 있는 척추뼈의 뒷쪽으로 이동한다(오른쪽 그림). 이 과정에서 허리의 신경과 관절에 충격과 압력을 주어 통증이 생기게 된다. 허리가 불안정해지는 원인 허리의 디스크는 허리에 가해지.. 더보기
[허리] 척추관 협착증 신체 부위 중에서 나이가 들면 많은 이들이 허리에 이상을 느낀다. 그럴만한 것이 허리는 인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둥 역할을 하므로 많은 힘을 받는다. 평소에 사용량이 많고 힘을 많이 받았던 허리가 나이가 들면서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특히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의 노화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척추관 협착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디스크와 혼동하기 쉬운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일산의 서울마디의원 전형준 원장에게 물어보았다. 척추관 협착증의 원인 척추관 협착증이란 척추에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져서 생기는 질병을 말한다. 우리 몸의 다른 장기처럼 신경도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척추관 협착증.. 더보기
[허리] 등과 허리의 압박 골절후 통증 70대 여자가 오른쪽 등과 허리에 걸친 통증으로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을 방문하였다. 환자는 2년전에 흉추12번과 요추 2번에 압박 골절을 입어 다른 병원에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골절로 부러진 척추뼈에 의료용 골 시멘트를 주입하고 굳히는 시술)을 받았다고 하였다.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에 내원하기 2달전에 얼음판에서 넘어졌는데 당시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았는데 5-6일전부터 과거에 압박 골절이 생긴 등의 아랫부분과 허리의 윗부분에 극심한 통증이 생겨 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에 대한 이학적 검사(진찰)에서 오른쪽 등의 아랫 부분부터 허리의 윗쪽에 걸쳐 압통(눌렀을 때 통증이 있는 것)이 있었다. X-선 검사에서 과거에 압박 골절이 생긴 부위이외에 새로 골절이 생긴 부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의 흉추와 요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