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질환/하지, 족부 질환 썸네일형 리스트형 [발] 중족골 골절 사례 50대 여자가 왼쪽 발 바깥쪽의 통증때문에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을 방문하였다. 이 환자는 내원한 날 아침에 집 거실을 걷다가 왼발이 바깥쪽으로 꺽이면서 통증이 있다고 하였다. 환자의 발에 대한 이학적 검사에서 왼발의 바깥쪽 5번 중족골이 약간 부어있었고 압통(눌렀을 때 통증이 있는 것)이 있었다. 환자의 왼쪽 발 x-선 사진. 환자에 대한 이학적 검사에서 압통이 발견된 부위를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x-선 사진에서 이 부근의 연부 조직이 부어있는 것이 보이며 뼈에 가느다란 금이 있어 골절이 의심되지만 뚜렷하지는 않다. 환자의 왼쪽 발 x-선 사진에서 5번 중족골(metatarsal bone)을 확대한 사진. 뼈에 가느다란 금이 있어 골절이 의심되지만 뚜렷하지는 않다. 골절이 의심되는 부위를 빨간색 화.. 더보기 [발] 무지외반증 치료 사례 무지외반증(hallux valgus)은 엄지 발가락에서 발가락의 뼈는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고 발뒤꿈치 쪽의 뼈는 안쪽으로 들어가 엄지 발가락 중족골-첫마디뼈 관절(metatarsal-phalangeal joint)이 튀어나온 것처럼 변형되는 것이다. 무지외반증이 생기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다음은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에서 무지외반증을 치료한 사례이다. ------------------------------------------- 50대 여자 환자가 2주전부터 생긴 왼발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을 내원하였다. 환자의 왼발에서 엄지발가락 방향을 따라 발목에서 발가락까지 통증과 저린 증상이 있었다. 엄지발가락의 중족골-첫마디뼈 관절(metatarsal-proximal phalangeal join.. 더보기 [발] 무지외반증에 대한 설명 무지외반증(hallux valgus)이란 엄지 발가락에서 발가락의 뼈는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고 발뒤꿈치 쪽의 뼈는 안쪽으로 들어가 엄지 발가락 중족골-첫마디뼈 관절(metatarsal-phalangeal joint)이 튀어나온 것처럼 변형되는 것이다. 무지외반증이 생기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 엄지 발가락의 첫마디뼈가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발뒤꿈치 쪽의 중족골이 안쪽으로 들어가 엄지 발가락 중족골이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게 변형이 일어난다. 무지외반증의 증상 중족골과 첫마디뼈 관절이 돌출되어 튀어나오므로 신발을 신으면 이 부위가 자극을 받는다. 자극으로 인해 피부가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기며 통증이 생긴다. 따라서 무지외반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중족골-첫마디뼈 관절 돌출 부위의 통증이다. 엄지발가락에 변형이 .. 더보기 [발] 발바닥 관절통 치료 사례 60대 여자가 왼쪽 발바닥 앞쪽의 통증 치료를 위해 서울마디 통증클리닉을 방문하였다. 환자의 증상은 5년전부터 시작되었는데 2년전부터는 증상이 더 심해졌다고 하였다. 그 동안 여러 병원을 방문하여 족저근막염(발바닥근막염)이라고 설명을 듣고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이 없다고 하였다. 환자에게 가장 아픈 곳이 어디인지를 물어보자 발바닥의 앞쪽, 2번째와 3번째 발가락사이가 가장 아프다고 하였다. 환자의 발바닥을 손으로 차근차근 짚으면서 압통(눌렀을 때 통증을 느끼는 것)이 있는 곳을 찾았다. 발바닥에서 2번째 발가락으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가장 심한 압통이 발견되었고, 3번째 발가락으로 연결되는 부위에도 압통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환자의 발바닥을 진찰하여 압통이 있는 곳을 표시한 사진. 발바닥에서 2번째 발가.. 더보기 [발] 복사뼈 골절 : x-선 사진과 초음파 영상 다음의 사례는 복사뼈에 골절이 생긴 환자에서 x-선 사진과 초음파 영상을 비교한 것이다. (왼쪽 사진) 발목의 복사뼈에 골절이 생긴 환자의 x-선 사진 (오른쪽 사진) x-선 사진에 대한 설명. 골절이 생긴 부위를 빨간색 원으로 표시하였다. 골절이 생긴 복사뼈 부위를 확대한 x-선 사진. 이 환자는 과거에도 복사뼈에 골절이 생긴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 2번째로 복사뼈 골절이 생겼다. 과거에 골절이 있었던 부위는 떨어져 나가 있다. 초음파 영상 초음파 검사를 하는 부위를 x-선 사진에 표시한 그림. 골절이 있는 부위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위 사진) 복사뼈 주위의 초음파 영상 (아래 사진) 초음파 영상에 대한 설명. x-선 사진에서는 최근에 골절된 부위가 한 덩어리로 보이지만 초음파 영상에는 여러 개의 .. 더보기 [발] 아킬레스 건염이 생긴 발과 생기지 않은 발의 초음파 영상 비교 아킬레스 건염은 장딴지 근육이 발뒤꿈치뼈에 붙는 부위의 힘줄인 아킬레스 힘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발을 무리하게 쓰는 것으로 인해 아킬레스 힘줄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발생한다. 다음은 아킬레스 건염이 생긴 발과 생기지 않은 발의 초음파 영상을 비교한 것이다. 발뒤꿈치의 해부학적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 아킬레스 건염은 장딴지 근육의 힘줄이 종골뼈에 붙는 자리에서 미세한 균열과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통증을 느끼는 질병이다. 아킬레스 건염이 있을 때 주로 손상되는 부위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왼쪽 발뒤꿈치에 아킬레스 건염이 생겼으나 오른쪽 발뒤꿈치에는 아킬레스 건염이 없는 환자의 사진. 오른쪽 사진에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빨간색으로 표.. 더보기 [발] 아킬레스 건염에 대한 설명과 진단 방법 아킬레스 건염은 장딴지 근육이 발뒤꿈치뼈에 붙는 부위의 힘줄인 아킬레스 힘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발을 무리하게 쓰는 것으로 인해 아킬레스 힘줄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발생한다. 아킬레스 힘줄주위 발바닥과 발뒤꿈치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그림 (일산 신일중학교 전민기 학생이 그린 그림) 아킬레스 건염이 있을 때 주로 손상되는 부위를 설명하는 그림. 힘줄이 종골뼈에 붙는 자리에서 미세한 균열과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통증을 느낀다. 아킬레스 건염이 있을 때 주로 손상되는 부위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일산 신일중학교 전민기 학생이 그린 그림) 아킬레스 건염의 진단 아킬레스 건염은 아킬레스 힘줄에 통증이 있고 이학적 검사에서 아킬레스 힘줄에.. 더보기 [발] FIMS를 이용한 족저 근막염(발바닥 근막염) 치료 동영상 족저 근막염 또는 발바닥 근막염은 발바닥을 싸고 있는 근막이 반복적인 손상을 입어 근막을 이루는 콜라겐이 변성되면서 통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발뒤꿈치에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발바닥의 해부학적 구조와 족저 근막염이 생기는 위치를 표시한 그림 FIMS를 이용한 족저 근막염의 치료 FIMS는 끝이 둥글면서 무딘 형태로 특수하게 제작된 바늘을 이용하여 족저 근막 주위의 유착을 제거하고 과민해진 부위를 자극하여 통증을 없애는 치료방법이다. FIMS 치료에 사용하는 특수제작바늘 족저 근막염에서 FIMS 치료를 하는 부위를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특수제작바늘로 발바닥 근막의 위쪽에 FIMS치료하는 것을 보여주는 초음파 동영상 특수제작바늘로 발바닥 근막의 아래쪽과 종골의 연결 부위에 FIMS..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